FAQ
1. [카피케어코리아]에 대하여 (Click)
1) 2017년 9월 1일 부로 카피케어코리아가 경배와찬양의 영성을 기초로 하여 새롭게 출발하였습니다.
• (구)카피케어아시아(서울 여의도 소재)의 모든 업무가 CopyCare Asia Headquaters(홍콩 소재)로 2017년 9월 1일 이관되었습니다.
• 카피케어코리아(주)는 CopyCare Asia Headquaters(홍콩 소재)의 관리를 받고 있습니다.
• 또한 카피케어코리아(주) 업무는 새로운 담당자들에 의해서 진행되고 있습니다.
2) 현재 카피케어아시아(홍콩 소재)는 아시아의 전반적인 카피케어 업무를 총괄 책임을 지고 있습니다.
• 현재 CopyCare Asia Headquaters(홍콩 소재)를 중심으로 카피케어코리아는 유라시아에서 중국, 한국인 예술인들과 함께 실제적인 업무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 더욱 깊은 신뢰와 성실함으로 카피케어의 업무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아시아 본부를 홍콩에 두고 업무의 방향을 주고 있습니다.
• 한국, 대만, 홍콩, 일본,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캄보디아 등등 카피케어와 연관되어진 예술인들이 함께 하고 있습니다. 카피케어코리아는 그 중 한국의 카피케어 업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3) 카피케어코리아(주)의 모든 업무는 메일 및 홈페이지를 통하여 진행됩니다.
• 승인 절차 및 문의하고자 하시는 사항에 대하여 copycarekorea@gmail.com으로 메일을 보내 주시면 성실히 답변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전화 상담보다는 홈페이지를 통해 기본적으로 궁금한 점, 행정적인 절차 및 승인 과정을 충분히 숙지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 참고로, 현재 CopyCare International의 Branch 가운데 가장 행정적으로 모범을 보여 주고 있는 곳은 카피케어 독일입니다. 시대적인 흐름 가운데 CopyCare Asia의 행정적인 모든 업무는 유럽에서 진행되어지고 있는 행정적인 절차를 참고하고 있습니다.
4) 카피케어코리아(주)는 Hotline을 가동하지 않습니다.
• 모든 고객들이 미리 계획을 세우고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승인 절차를 밟아 주시기를 바랍니다.
– 승인 절차 없이 상품을 출시할 경우에는 과도한 벌금을 부과하게 됨을 숙지해 주시기 바랍니다.
• 카피케어코리아 업무 외에는 다른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 저작권에 관한 일반적인 정보에 대하여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고객들께서는 “저작권 국제 자료 센타(유럽 소재)”가 개설될 예정이니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 “저작권 국제 자료 센타(유럽 소재)”는 카피케어코리아의 협력 기관입니다. 구체적인 사항은 카피케어 홈페이지를 통하여 공지 사항을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 “저작권 국제 자료 센타(유럽 소재)”의 공식적인 언어는 한국어, 영어로 업무를 진행합니다. 그 외에 독일어, 이태리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이 업무의 개시 일은 2018년 7월 1로부터 시작될 예정입니다.
5) 특별히 카피케어 아시아(현 홍콩 소재)는 아시아를 통하여 ‘경배와찬양’의 곡을 만국에 소개하고자 합니다.
• 현재 아시아, 특별히 한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경배’, ‘찬양’, ‘회개와 회복’, ‘영적 전쟁’, ‘축제’ 등등 아름답고 소중한 경배 찬양 곡들이 있습니다. 이러한 “경배와찬양’의 곡을 유럽 및 북남미, 그리고 만국에 종족별 언어로 소개하고자 하는 마음을 가지고 있습니다.
• 많은 단체가 이러한 일을 잘 감당할 수 있겠지만, 카피케어 창립자부터 저작권에 관련된 원로들이 카피케어 아시아에 관심을 가져 주시고, 또한 좋은 멘토로 역할을 해 주시고 계십니다.
• 이런 점에서 카피케어코리아는 한국의 좋은 곡들을 유럽과 만국에 소개할 수 있는 최대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일들이 한국에서도 서서히 알려진다면, 좋은 열매를 맺을 수 있게 될 것입니다. 자세한 안내는 카피케어코리아 홈페이지의 “카피케어 저작권 관리국”이라는 항목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2. [카피케어코리아 관리곡 검색방법]에 대하여 (Click)
1) 홈페이지 상단에서 ‘Songs’를 선택합니다.
2) 검색하고자 하시는 영어 제목의 첫 알파벳에 해당되는 글자를 선택합니다.
• 예를들어 ‘A’의 ‘Amazing grace’ 곡을 검색하려면 ‘A’를 클릭하십시오.
• 검색하고자 하시는 첫 글자가 알파벳이 아니라면 ETC를 클릭하십시오.
3) 곡 검색은 번호, 한글 제목, 영어 제목, 저작년도, 작사/작곡가, 저작권자, 저작권%로 검색할 수 있습니다.
• 곡 번호로 검색: 곡 번호를 하단에 입력하시면 해당 곡을 검색할 수 있습니다.
• 한글 제목으로 검색: 한글 제목을 하단에 입력하시면 해당 곡을 검색할 수 있습니다.
• 영어 제목으로 검색: 영어 제목을 하단에 입력하시면 해당 곡을 검색할 수 있습니다.
• 작곡가/작사가로 검색: 작곡가/작사가를 하단에 입력하시면 해당 곡을 검색할 수 있습니다.
• 저작년도로 검색: 저작년도를 하단에 입력하시면 해당 곡을 검색할 수 있습니다.
• 저작권자로 검색: 저작권자를 하단에 입력하시면 해당 곡을 검색할 수 있습니다.
• 저작권 %로 검색: 저작권 %를 하단에 입력하시면 찾으시는 저작권 %의 곡을 검색할 수 있습니다.
4) 카피케어 관리곡중 한글제목이 없는 경우, 아직 번역이 되지 않았거나, 업데이트가 되지 않은 것입니다.
• 보다 자세한 문의는 메일로 주시면 됩니다.
3. [카피케어코리아 번역곡 검색방법]에 대하여 (Click)
1) 홈페이지 상단에서 ‘Translation’을 선택합니다.
• ‘Translation’은 카피케어에서 관리하는 번역곡을 의미합니다.
2) 번역 곡 검색하기는 카피케어 관리곡 검색하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검색할 수 있습니다.
• 번호, 한글 제목, 영어 제목, 작사/작곡가,저작권, 또는 저작권 %로 검색할 수 있습니다.
– 곡 번호로 검색: 곡 번호를 하단에 입력하시면 해당 곡을 검색할 수 있습니다.
– 한글 제목으로 검색: 한글 제목을 하단에 입력하시면 해당 곡을 검색할 수 있습니다.
– 영어 제목으로 검색: 영어 제목을 하단에 입력하시면 해당 곡을 검색할 수 있습니다.
– 작곡가/작사가로 검색: 작곡가/작사가를 하단에 입력하시면 해당 곡을 검색할 수 있습니다.
– 저작권자로 검색: 저작권자를 하단에 입력하시면 해당 곡을 검색할 수 있습니다.
– 저작권 %로 검색: 저작권 %를 하단에 입력하시면 찾으시는 저작권 %의 곡을 검색할 수 있습니다.
3) 검색 후 번역된 가사는 곡의 영어 제목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 번역된 가사는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를 할 예정입니다.
• 현재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번역된 가사의 곡은 영어제목에 파란색 글씨로 표시됩니다.
4) 곡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확인합니다.
• Lyrics는 공식 승인되어 번역된 가사입니다.
• Information에는 작곡/작사가, 저작권자, 관리자, 저작권 %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4. [카피케어코리아 오프라인,온라인,저작권관이 계약서 신청방법]에 대하여 (Click)
1) 먼저, 카피케어코리아에서 관리하는 저작물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계약서를 작성해야 합니다.
카피케어코리아에서 관리하는 계약서는 3종류의 계약서가 있습니다.
• 첫 번째, “오프라인 저작물 이용 계약서”입니다. 이 계약서는 음반 및 악보 제작 승인에 관한 계약서입니다
• 두 번째, “온라인 저작물 이용 계약서”입니다. 이 계약서는 디지털 음원 제작 승인(디지털 음원 발매 신청자) 및 온라인 서비스(온라인 음원 유통사)에 대한 계약서입니다.
• 그리고 세 번째, “저작권 관리 계약서”입니다. 이 계약서는 자작곡에 관한 저작권 대리 중개 업무 계약서입니다.
2) 계약을 요청하시는 경우, 아래 사항을 기록하여 카피케어코리아에 메일로 보내 주십시오.
• 음반 / 악보집 / 디지털 음원 판권의 소유자가 개인입니까, 아니면 음반 기획사입니까?
• 디지털 음원 판권 소유자의 개인 이름 또는 음반 기획사의 회사 명을 보내 주십시오.
• 위의 내용을 근거로 하여 카피케어코리아에서 “오프라인 저작물 계약서” 또는 “온라인 저작물 계약서”를 보내 드립니다.
• 참고로, “저작권 관리 계약서”를 요청하시는 경우에는 아래의 정보를 카피케어코리아 메일로 보내 주시기 바랍니다. 다음 정보를 검토한 후에 카피케어코리아 “저작권 관리 계약”을 진행하게 됩니다.
– 이력서(영문이름 포함)
– 자기 소개서(Profile)
– 곡 소개서
– 주민등록증 사본
– 통장 사본
– 창작곡 악보 파일
– 창작곡 음원 파일
– 창작곡 가사 파일(텍스트 문서 파일)
3) 확인하시고 “저작물 이용 계약서”에 동의하시면 PDF 계약서 상에 전자 서명을 하여 copycarekorea@gmail.com으로 메일을 보내 주시기 바랍니다.
• 날인하여 보내 주신”오프라인 저작물 이용 계약서”는 카피케어코리아의 서명을 한 후 이메일로 보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전자 서명된 계약서를 상호 보관하도록 합니다.
[주의사항]
4) 계약서를 보내실 때, 사업자등록증(회사), 또는 고유번호증(단체), 주민등록증(개인)을 스캔하여 메일로 보내 주십시오.
• 해외에 체류하여 주민등록증 사본이 없으신 경우 여권 사본을 보내 주시기 바랍니다.
• 신분증을 보내실 때 신분증 번호(주민등록번호 또는 여권번호)는 삭제하지 마시고 보내 주십시오.
• 신분증 번호는 세금계산서를 발행할 때 필요합니다.
5) 전자 서명된 계약서를 상호 보관하도록 합니다.
5. [카피케어코리아 관리곡 음반 및 출판 신청]에 대하여 (Click)
1) 먼저, 카피케어코리아에서 관리하는 저작물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계약서를 작성해야 합니다. 계약서에 대한 부분은 ‘4. 카피케어코리아 오프라인, 온라인, 저작권관리 계약서 신청하기.’를 참조하시면 됩니다.
2) 저작물 이용 계약서를 마치고 난 이후에, 두 번째 해야 하는 행정 절차는 저작물 신청 내용의 작성입니다.
• 홈페이지 상단 메뉴 중, Songs를 통해 신청하고자 하는 관리곡을 검색할 수 있습니다.
• FAQ의 “곡 사용 신청 양식”을 다운로드를 받으십시오.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 홈페이지 상단, FAQ의 “Copycare 신청양식”을 선택합니다.
– 사용 용도에 따라 해당되는 항목을 선택하여 ‘Download’을 통해 ‘곡 사용 신청서’와 ‘곡 사용신청목록’의 양식을 다운로드 받습니다. 예를 들어 음반을 제작하는 경우에는 ‘곡 사용 신청서’와 ‘곡 사용신청목록-음반’을 다운 받습니다.
3) 다운로드를 받은 ‘곡 사용 신청서’와 ‘곡 사용신청목록’ 양식에 아래 항목을 작성하십시오.
3-1) 음반 / 디지털 음원의 경우
• 음반 명
• 음반 종류 (CD, DVD, MP3등 온라인 음원 서비스)
• 음반 수록 전체 곡 명 (한글 제목 및 영문 제목, 작사와 작곡자, 작곡 연도, 저작권자 기록)
– 홈페이지 상단 메뉴 중, FAQ의 “곡 사용 신청 양식”을 다운로드 후 작성하여 신청 내용과 함께 보내 주십시오.
– 엑셀 프로그램이 없어 작성이 어려운 경우, 답 메일에 직접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MR 또는 다른 버전의 음원이 있을 경우, 중복된 곡이라도 별도로 기재해 주십시오.
• 음반 출시 예정일
• 음반 시중 소비자 판매가격 (*온라인 음원 서비스의 경우, 해당사항 없음)
• 음반 제작 수량 (*온라인 음원 서비스의 경우, 해당사항 없음)
• 카피케어코리아 관리 곡 음원 파일 (원곡 멜로디와 가사 변형 확인 위함)
• 이와 함께, 다음 2가지 사항을 추가로 기입하여 주십시오.
– 세금계산서 담당자 성함과 메일 주소를 보내 주십시오(로열티 입금 확인 이후 세금계산서(웹텍스)를 발송하게 됩니다).
– 홀로그램을 받으실 주소와 우편번호 그리고 연락처를 답 메일로 보내 주십시오(온라인 음원은 해당되지 않습니다).
2-2) 악보집의 경우
• 악보 명
• 악보 종류(단선율, 합창, 반주용, 악기용 등)
• 악보집 수록 전체 곡 목록(한글 제목 및 영문 제목, 작사와 작곡자, 작곡 연도, 저작권자 기록)
– 홈페이지 상단 메뉴 중, FAQ의 “곡 사용 신청 양식”을 다운로드 후 작성하여 신청 내용과 함께 보내 주십시오.
– 엑셀 프로그램이 없어 작성이 어려운 경우, 답 메일에 직접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단선율, 합창, 반주 등, 중복된 곡이라도 별도로 기재해 주십시오.
• 악보 출시 예정일
• 악보 시중 소비자 판매 가격
• 악보 제작 수량
• 카피케어코리아 관리곡 악보 파일(원곡 멜로디와 가사 변형 확인 위함)
• 이와 함께, 다음 2가지 사항을 추가로 기입하여 주십시오.
– 세금계산서 담당자 성함과 메일 주소를 보내 주십시오(로열티 입금 확인 이후 세금계산서(웹텍스)를 발송하게 됩니다).
– 홀로그램을 받으실 주소와 우편번호 그리고 연락처를 답 메일로 보내 주십시오.
2-3) 신규 출판물(핸드북)의 경우
• 출판물 명
• 출판물 종류 (단선율, 합창, 반주용, 악기용, 핸드북, 교재 등)
• 출판물 수록 전체 곡 목록(한글 제목 및 영문 제목, 작사와 작곡자, 작곡 연도, 저작권자 기록)
– 홈페이지 상단 메뉴 중, FAQ의 “곡 사용 신청 양식”을 다운로드 후 작성하여 신청 내용과 함께 보내 주십시오.
– 엑셀 프로그램이 없어 작성이 어려운 경우, 답 메일에 직접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단선율, 합창, 반주 등, 중복된 곡이라도 별도로 기재해 주십시오.
• 출판물 출시 예정일
• 출판물 시중 소비자 판매가격
• 출판물 제작 수량
• 카피케어코리아 관리곡 악보 파일(원곡 멜로디와 가사 변형 확인 위함)
• 이와 함께, 다음 2가지 사항을 추가로 기입하여 주십시오.
– 세금계산서 담당자 성함과 메일 주소를 보내 주십시오(로열티 입금 확인 이후 세금계산서(웹텍스)를 발송하게 됩니다).
– 홀로그램을 받으실 주소와 우편번호 그리고 연락처를 답 메일로 보내 주십시오.
4) 신청 내용과 함께 스캔을 받아서 카피케어코리아로 메일을 보내 주십시오.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 홈페이지 상단의 ‘Contact & Imprint’에서 ‘Contact Asia’를 선택합니다.
• 사용자 정보 입력 칸과 제목을 작성합니다.
• 첨부 파일은 ‘ File’을 통해 메일로 전송할 수 있습니다.
5) 현재 카피케어코리아에서 관리하는 찬송가는 총 9곡입니다.
• 찬송가 수록곡은 2006년 11월 이후에 출시된 찬송가를 기준으로 합니다.
– 찬송가는 저작권자 사후 70년이 지나 저작권이 소멸된 곡(Public Domain)이 대부분입니다.
– 그러나, 찬송가에 수록된 곡 중에서 저작권이 유효한 곡들이 있으므로,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의 곡 검색 기능을 통하여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또한 찬송가의 경우 편곡 로열티가 적용되는 곡들이 있기 때문에 사전 확인 과정이 필요합니다.
– 자세한 사항은 copycarekorea@gmail.com으로 문의해 주십시오.
• 카피케어코리아에서 관리하는 찬송가는 아래와 같습니다.
– 찬송가 24장 왕 되신 주 (Authentic Publishing)
– 찬송가 30장 전능하고 놀라우신 (Broadman Press)
– 찬송가 79장 주 하나님 지으신 모든 세계 (Stuart K. Hine Trust)
– 찬송가 94장 주 예수보다 더 귀한 것은 없네 (Curb Word Music)
– 찬송가 162장 부활하신 구세주 (Curb Word Music)
– 찬송가 224장 정한 물로 우리 죄를 (The United Methodist Publishing)
– 찬송가 238장 해 지는 저편 (Curb Word Music)
– 찬송가 505장 온 세상 위하여 (Broadman Press)
– 찬송가 533장 우리 주 십자가 (McKinney Music, Inc.)
6) [추가 제작] 음반/악보 곡 사용 승인 절차에 대하여(신청에서 승인까지)
• 카피케어코리아에서 승인을 받은 음반 및 악보를 추가 제작하시는 경우, 해당 승인 공문과 곡 목록을 파일로 첨부하여 copycarekorea@gmail.com으로 보내 주시기 바랍니다.
– 곡 목록은 PDF가 아닌, 엑셀 파일 그대로 보내 주십시오.
• 이와 함께, 다음 사항을 기입하여 copycarekorea@gmail.com으로 보내 주시면 승인 절차를 진행해 드리겠습니다.
– 음반/악보 출시 예정일
– 음반/악보 시중 소비자 판매가격
– 음반/악보 제작 수량
7) 저작물 사용 승인 절차 진행 중 중도에 취소하는 경우에 대하여
• 저작물 사용 승인 과정 중 일방적으로 취소를 통보하게 되는 경우, 저작물 이용 계약서 제 10-1조 4항과 제 10-2조 7항, 그리고 제 10-3조 2항에 근거하여, 저작물 이용 승인 절차 진행 과정에서 발생한 행정 업무에 대한 행정 수수료를 청구하게 됩니다.
• 행정 수수료가 입금된 이후에 저작물 사용 신청 취소가 완료되어지게 됩니다.
8) 사용 승인 절차를 밟지 않고 음반 / 악보집을 제작한 경우에 대하여
• 카피케어코리아의 승인 절차에 따른 원칙은, 제작 수량에 대하여 먼저 승인을 받은 후 발매하게 되어 있습니다. 또한 음반 / 악보집의 경우는 승인 공문에 따른 저작권을 표기하고 증지(홀로그램)를 부착하여 발매해야 합니다.
• 승인 없이 음반/악보집을 선출고하신 경우, 카피케어코리아에서는 “저작물 이용에 관한 계약서(음반, 음원, 출판 등)” 제 13조 3항과 제 14조 2항에 따라 부득이 위약금을 청구하게 됩니다.
• 또한 3회 이상 승인을 받지 않고 카피케어코리아 관리곡을 사용하신 경우에는 “저작물 이용 계약”이 취소되며 일정 기간 곡 사용 승인을 받을 수 없게 됩니다.
제 13조 (권리와 의무) 3항
“을”은 반드시 “갑”으로부터 사전 이용 허락을 받은 저작물 만을 사용해야 하며, 만약 허락을 받지 않고 저작물을 사용한 것이 드러난 경우 “을”은 이에 대하여 본 계약 제14조 2항에 의하여 위약금을 “갑”에게 지급한다.
제 14조 (위약금) 2항
“을”이 “갑”의 허락을 받지 않고 저작물을 이용했을 경우 혹은 본 계약을 위배하는 행위를 했을 경우 “갑”은 “을”에게 위약금을 부과할 수 있으며, 그 금액은 매 일 회 발견 시마다, 해당 제작물의 제작 수량에 대한 로열티의 30%로 정한다. 단, 그 금액이 오십만 원 미만일 경우에는 오십만 원(부가세 별도)으로 정한다. 또한 3회 이상 동일한 잘못이 드러나게 될 경우 “을”은 3회 째 발견된 시점으로부터 “갑”이 관리하는 모든 저작물을 일정 기간 이용할 수 없다.
6. [카피케어코리아 로열티 및 행정료]에 대하여 (Click)
1) 저작물 이용 계약서 및 신청 내역 작성을 확인하고 난 이 후에 로열티 청구서를 발행합니다.
1-1) 로열티의 종류에 대하여
• 메카니칼 로열티(mechanical royalty): 음반에 수록된 저작물에 대하여 사용료를 지불하는 로열티입니다.
• 프린트 로열티(print royalty): 악보에 수록된 저작물에 대한 로열티입니다.
• 퍼포먼스 로열티(performance royalty): 공연이나 방송 등과 관련된 로열티입니다.
• 편곡 로열티(arrangement royalty): 편곡 저작권에 대한 로열티입니다. 참고로, 편저작권 등록이 가능한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원저작권자 사후 칠십 년이 지나 저작권이 소멸된 경우(Public Domain)
– 원저작권자가 저작권을 양도한 경우
• 그외, 외국 음반 복제권과 관련된 라이센스 로열티(lease royalty)와 음반 제작자들에게 지불하는 아티스트 로열티(artist royalty)가 있습니다.
1-2) 로열티 정산 방법에 대하여(음반 / 악보 / 디지털 음원)
• “제작 수량”에 따른 로열티 청구
– 음반 / 악보 / 디지털 음원에 대한 저작권 사용료는 “판매 수량”이 아닌 “제작 수량”에 대하여 청구하게 됩니다.
– 예를 들어, 승인 완료된 상품을 추가로 제작하는 경우, 또는 새로운 출판물을 제작하는 경우, 제작 수량에 대하여 카피케어코리아에서 저작권 사용료를 청구합니다.
• 음반의 경우(mechanical royalty)
– 소비자 판매 가격 x 6.25% / 전체곡수 x 관리곡수 = 앨범당 로열티
– 앨범당 로열티 x 제작 수량 = 총 납부하셔야 되는 로열티
: 소비자 판매 가격은 부가세를 제외한 금액입니다.
: 전체 곡 수는 저작권을 가지고 있는 곡 수를 의미합니다(저작권이 소멸된 곡(Public Domain)은 전체 곡수에서 제외합니다).
: 예를 들어, CD 한장의 가격이 12,000원이며, 총 12곡이 수록되어 있으며, 그 중에 카피케어 관리곡이 3곡인 경우를 정산해 보겠습니다.
: CD 한 개에 대한 로열티는 10,909원(12,000의 부가세를 뺀 비용) x 6.25% / 12곡 x 3곡 = 170원입니다. 이 CD를 총 1,000장이 제작하는 경우 총 로열티는 170원 x 1,000장 = 170,000원(부가세 별도)입니다.
• 악보의 경우(print royalty)
– 소비자판매가격 x 12.5% / 전체곡수 x 관리곡수 = 악보당 로열티
: 계산 방법은 위와 동일합니다.
: 단, 악보는 면세품이기 때문에 소비자 판매 가격에서 부가세를 제외하지 않고 그대로 적용합니다.
*음반과 악보의 경우, 행정 수수료는 로열티와 별도로 계산됩니다. 로열티 및 행정 수수료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저작물 이용 계약서” 제 10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 디지털 음원의 경우
– 디지털 음원도 하나의 상품으로서 간주되며, 제작 이전에 카피케어 관리곡에 대한 승인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 디지털 음원 제작에 따른 승인 업무 행정료는 곡당 50,000원이며(부가세 10% 별도) 일회적인 비용으로 별도 추가 금액은 들지 않습니다.
1-3) 저작권 사용료 징수 근거에 대하여(로열티 및 행정료)
• 카피케어코리아는 원저작권자의 권한을 위임 받아, 원곡 사용을 신청하는 제작자들에게 승인 업무를 진행합니다. 곡 사용에 대한 로열티는 행정료를 제한 후, 원저작권자에게 전달되어지게 됩니다.
• 참고로, 저작권법에 따른 저작권 사용료 징수 근거는 저작권법 105조(저작권위탁관리업의 허가 등)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1-4) 집회 때 곡을 사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 입장료를 받는 콘서트나 유료 공연 시에는 로열티를 지불해야 합니다. 또한 예배나 집회 실황을 음반이나 영상으로 제작하여 유통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 승인 절차를 밟으셔야 합니다.
• 교회, 단체 등의 예배 및 집회 시의 곡 사용에 대한 저작권 사용에 관해서는 CCLI KOREA(Christian Copyright Licensing International)로 문의를 주시기 바랍니다
(문의처: +82 (0)2 3444 8745; 홈페이지: https://kr.search.ccli.com/).
2) 카피케어코리아에서 신청 내역을 근거로 하여 로열티 청구서를 이메일로 발송해 드립니다.
3) 로열티 입금이 확인된 이후에 저작물 사용 승인 절차를 진행합니다.
7. [카피케어코리아 번역승인 신청]에 대하여 (Click)
1) 먼저, 홈페이지 상단의 “Songs”을 선택하신 다음 번역을 원하시는 곡을 검색합니다.
• 한글 제목(Korean name)이 없는 곡이 미번역곡이며, 미번역곡의 경우 번역 승인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 카피케어코리아 관리곡 검색에 대하여는 위의 ‘카피케어코리아 관리곡 검색하기’를 참조하시면 됩니다.
• 번역 곡 정보는 한글 제목, 영문 제목, 작사/작곡가, 저작권자, 저작권 관리비율(%)로 표시됩니다.
– 참고로 관리비율이 0% 인 경우 번역 신청이 불가합니다.
2) 번역 승인을 원하시는 곡에 대하여 다음 자료를 copycarekorea@gmail.com으로 보내 주십시오.
• 원곡 악보 파일: 단선 악보의 영문 가사 밑에 한글 가사를 기록한 악보 파일(PDF 혹은 JPG)
– 채보된 악보는 유효하지 않습니다. 공식적인 악보를 구입하여, 한글 가사를 직접 수기 등으로 기록해 주시기 바랍니다(공식 악보 자료에는 저작권 표기가 기록되어 있습니다).
– 기록하신 악보 자료는 스캔하여 메일로 보내 주십시오.
• 가사 엑셀 파일: 원곡의 영문가사와 한글가사 기록
– 홈페이지 상단 FAQ의 “Transliteration template”을 다운로드 후 작성하여 첨부하여 주십시오.
• 음원 파일: 원곡 음원 파일
• 신청 내용과 함께 스캔을 받아서 카피케어코리아로 메일을 보내 주십시오. 메일을 보내시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 홈페이지 상단의 ‘Contact & Imprint’에서 ‘Contact Asia’를 선택합니다.
– 사용자 정보 입력 칸과 제목을 작성합니다.
– 첨부 파일은 ‘ File’을 통해 메일로 전송할 수 있습니다.
3) 보내 주신 자료에 대하여 카피케어코리아 “한글 가사 승인 번역 위원회”에서 유라시아의 위원들이 검토를 하고 번역 승인을 진행합니다.
4) 힐송, 게이트웨이, 베델뮤직 번역 승인 신청에 대하여
• 힐송(Hillsong Music Publishing), 게이트웨이(Gateway Music Publishing), 베델뮤직(Bethel Music Publishing)은 자체 한국어 통번역 팀을 통하여 직접 번역승인을 진행합니다. 번역 승인을 신청하시는 곡의 저작권이 힐송, 게이트웨이, 베델뮤직에 있는 경우, 번역 신청하신 자료를 카피케어코리아에서 해당 단체 한글 가사 번역 담당자에게 번역 승인 및 교정을 의뢰합니다.
• 승인 완료된 한국어 가사는 관리자인 카피케어코리아에 전달되어, 한글 번역 승인 신청자에게 안내를 드리게 됩니다.
• 참고로, 힐송, 베델뮤직은 번역 검토 과정에서 영어 역번역을 필요로 합니다. 첨부된 “Transliteration template” 파일에 한글로 번역하신 가사를 영어로 직역하여 보내 주시기 바랍니다.
5) 자료를 검토하는 시간은 번역 승인 기간은 곡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최소 4-8주 정도 소요됩니다.
• 번역 승인이 완료된 이후에 녹음 또는 악보 제작이 가능합니다. 진행 일정에 참조해 주시기 바랍니다.
6) 카피케어코리아에 한글 가사 번역 승인을 요청하는 경우, 번역한 한글 가사로 음반 또는 악보를 제작하는 것을 전제함을 참고해 주십시오.
7) 카피케어 코리아 번역 승인 조건에 대하여
• 카피케어코리아에 한글 가사 번역 승인을 요청하는 경우, 번역한 한글 가사로 음반 또는 악보를 제작하는 것을 전제함을 참고해 주십시오. 제작되지 않은 번역은 유효하지 않음을 알려드립니다.
8) 승인되지 않은 다른 가사를 사용해서 녹음하는 경우에 대하여
• 번역 곡은 원칙적으로 두 개의 번역본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 그러므로, 승인 가사를 사용하지 않고 다른 가사로 녹음을 하신 경우에는 승인된 가사로 재녹음을 하셔야 합니다. 이로 인하여 재정적, 시간적인 손실을 입지 않도록 사전에 꼭 승인 가사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카피케어는 1997년 한국에서 처음 업무를 시작하면서 교회마다 서로 다른 가사로 불리워지고 있는 찬양의 가사 통일 작업을 시작하였습니다. 이것은 무분별한 번역으로부터 곡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잘못된 가사 사용과 곡의 변형을 막기 위함입니다. 이 일을 위하여 카피케어는 원저작권자로부터 번역에 대한 모든 권리를 양도받아 번역승인 업무를 하고 있으며, 이렇게 번역승인된 모든 한국어 가사에 대한 저작권은 원저작권자에게 있게 됩니다.
• 번역은 또 다른 창작 작업이고 번역자에 따라 곡의 느낌이 많이 달라지는 것은 사실입니다. 번역에 대한 많은 다양한 의견들이 있을 수 있지만 카피케어는 번역자의 의견을 최대한 반영하여 최선의 번역이 나올 수 있도록 객관적이고 공정한 심의기관으로서 역할을 다하겠습니다.
9) 번역 심사가 진행 중인 곡의 번역 승인 신청 가능 여부에 대하여
• 번역 심사가 진행 중인 곡이라 할지라도, 번역 승인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번역 제안을 주실 수 있습니다. 제안해 주신 한글 번역 내용은 “한글 가사 승인 번역 위원회”에서 최선의 번역 결과가 나올 수 있도록 비교, 검토하는 과정을 진행하게 됩니다.
8. [카피케어코리아 홀로그램]에 대하여 (Click)
1) 홀로그램 신청은 메일을 통해 업무가 진행됩니다. copycarekorea@gmail.com으로 신청해주시면 됩니다.
2) 인쇄 사고 등으로 증지(홀로그램)을 못쓰게 된 경우에 대하여
• 증지는 제작 수량만큼 보내 드리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습니다.
• 증지는 단순히 매매하는 개념이 아닙니다.
• 인쇄 사고로 인하여 증지를 사용하지 못하게 된 경우, 해당 증지를 카피케어코리아로 보내 주시면 해당 증지를 추가로 보내 드립니다. 이에 대하여는 추가 경비를 요청하지 않습니다.
• 그러나, 인쇄 사고가 발생한 홀로그램을 카피케어코리아의 동의 없이 폐기한 경우에는 추가로 홀로그램을 발송해 드릴 수가 없음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9. [카피케어코리아 승인공문]에 대하여 (Click)
1) 승인공문 신청은 메일을 통해 업무가 진행됩니다. copycarekorea@gmail.com으로 신청해주시면 됩니다.
2) 영문 승인서를 요청하는 방법에 대하여
• 영문으로 된 승인서가 필요하신 경우, 카피케어코리아에서 전달받은 한글 승인서를 copycarekorea@gmail.com으로 보내 주시면, 영문으로 변환 후 보내 드립니다.
• 영문 승인서를 요청하실 때에는 번역 행정 업무에 대한 소정의 행정 수수료가 청구됨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3) 승인 공문 발행
• 로열티 입금이 확인된 이후 저작물 사용에 대한 승인 공문 및 세금계산서(웹텍스)를 이메일로 보내 드립니다.
• 이와 함께 음반, 악보집에 대한 증지(홀로그램)를 등기 우편으로 보내 드립니다.
• 승인 공문과 함께 보내 드리는 저작권 표기를, 제작하시는 음반의 자켓 또는 악보집에 수록되는 카피케어 관리곡 각 곡의 밑단에 표시하셔야 합니다.
• 상품 제작이 완료되면 상품의 종류별로 2개씩 카피케어로 보내주셔야 합니다.
4) 승인 절차 행정 소요 시간
• 신청자료를 받은 날로부터 승인까지는 2-4주 정도 소요될 예정입니다.
– 100곡 이상의 악보를 제작하시는 경우에는, 제작기간을 최소한 1달 이상(최대 2달)의 여유 시간을 가지고 신청해 주셔야 합니다.
• 사용하시는 곡 중에서 당사가 관리하지 않는 곡의 경우는 원저작권자에게 직접 사용 승인을 받으셔야 합니다.
10. [카피케어코리아 관리곡 중, 편곡/ 커버곡 및 편저작권/ 저작권이 소멸된 곡(Public Domain) 신청]에 대하여 (Click)
1) 편곡 / 커버곡 신청하기
• 원곡의 멜로디 또는 가사를 변형시키는 것은 카피케어코리아의 권한이 아닙니다.
• 일반적으로 원곡의 멜로디와 가사의 변형은 원저작권자가 승인하지 않습니다.
• 연주 곡의 경우 화성이나 리듬의 변주는 가능합니다.
• 또한 두 곡을 메들리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은 허용됩니다.
• 원곡의 멜로디 또는 가사의 일부분을 수정하여 편곡하고자 하시는 경우는 원 저작권자의 승인을 받아야 됩니다. 편곡한 곡을 원 저작권자로부터 승인을 받기 위하여 최소 2~4주 시간이 필요합니다. 그 이후 카피케어코리아와 곡 사용 승인 절차 진행을 할 수 있습니다.
2) 편저작권 신청하기
• 카피케어코리아 관리 곡은 제작된 음원에 대한 소유권(저작 인접권)이 원저작권자에게 있음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 편저작권 등록이 가능한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원저작권자 사후 칠십 년이 지나 저작권 시효가 소멸된 경우
– 원저작권자가 저작권을 양도한 경우
• 한국음악저작권협회등 타 저작권 관리회사에 편저작권을 등록하실 때에는 카피케어코리아 관리곡은 제외해 주십시오.